새로운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교육방식
작성자
수원코딩학원
작성일
2017-07-05 13:35
조회
6550
『불확실한 세계에 적응력을 높여주는 새로운 교육 모델 4C』
최근 어린이들이 판사와 교사 등 기존의 전통적인 인기 직업이 아닌 다양한 직업을 꿈꾸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수많은 직업들이 사라지고 생겨남에 따라 웹툰 작가, 유튜버, 애니메이터 등 한 직종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다양한 직업을 꼽았습니다.
이는 미국 듀크 대학교의 캐시 데이비슨 교수가 발표한 저서 에
"올해 초등학교 들어가는 어린이들의 65%는 아직도 생기지도 않은 직업을 갖게 된다."라고 이미 언급한 바 있는데요.
기술이 너무 빠르게 진화하기 때문에 어떠한 직업과 기술이 5~10년 뒤에도 생존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대에 교육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요?
또 앞으로 어떤 형태의 교육이 필요할까요?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핀란드는 '현상 기반 접근 방법'이라는 새로운 모델로 교육방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현상 기반 접근 방법'은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 방식이 아닌 4C를 강조하는 주제 접근 방식입니다.
· Communication(의사소통)
· Creativity (창의력)
· Critical thinking(비판적인 사고력)
· Collaboration(협업력)
이 네 가지는 팀으로 협력해 작업하는데 유용하며, 학생들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싱귤래리티 허브의 편집장 데이비드 힐은 "4C가 21세기의 성공적인 사업가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술"이라고도 말합니다.
핀란드의 이러한 교육 방식은 과거의 안정적인 노동 시장을 위해 만들어진 낡은 미국의 교육 모델과 비교됩니다.
기술은 앞으로의 교육 방식을 또 다른 방식으로 바꿔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세계의 성공한 기업가들은 4C와 더불어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는 세 가지 기술을 더 이야기합니다.
이는 적응성(Adaptability), 회복탄력성과 기개(Resiliency and grit), 지속적으로 배우려는 사고 방식(Mindset of continuous learning) 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줍니다.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그들이 마주할 변화에 대처하려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적응력을 가르치는 것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새롭게 다가올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이를 위한 전통적 교육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최근 어린이들이 판사와 교사 등 기존의 전통적인 인기 직업이 아닌 다양한 직업을 꿈꾸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수많은 직업들이 사라지고 생겨남에 따라 웹툰 작가, 유튜버, 애니메이터 등 한 직종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다양한 직업을 꼽았습니다.
이는 미국 듀크 대학교의 캐시 데이비슨 교수가 발표한 저서 에
"올해 초등학교 들어가는 어린이들의 65%는 아직도 생기지도 않은 직업을 갖게 된다."라고 이미 언급한 바 있는데요.
기술이 너무 빠르게 진화하기 때문에 어떠한 직업과 기술이 5~10년 뒤에도 생존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합니다.
이처럼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대에 교육은 어떻게 변화해야 할까요?
또 앞으로 어떤 형태의 교육이 필요할까요?
이에 대한 해결 방법으로 핀란드는 '현상 기반 접근 방법'이라는 새로운 모델로 교육방식을 바꾸고 있습니다.
'현상 기반 접근 방법'은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 방식이 아닌 4C를 강조하는 주제 접근 방식입니다.
· Communication(의사소통)
· Creativity (창의력)
· Critical thinking(비판적인 사고력)
· Collaboration(협업력)
이 네 가지는 팀으로 협력해 작업하는데 유용하며, 학생들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싱귤래리티 허브의 편집장 데이비드 힐은 "4C가 21세기의 성공적인 사업가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기술"이라고도 말합니다.
핀란드의 이러한 교육 방식은 과거의 안정적인 노동 시장을 위해 만들어진 낡은 미국의 교육 모델과 비교됩니다.
기술은 앞으로의 교육 방식을 또 다른 방식으로 바꿔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세계의 성공한 기업가들은 4C와 더불어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는 세 가지 기술을 더 이야기합니다.
이는 적응성(Adaptability), 회복탄력성과 기개(Resiliency and grit), 지속적으로 배우려는 사고 방식(Mindset of continuous learning) 입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줍니다.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그들이 마주할 변화에 대처하려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적응력을 가르치는 것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새롭게 다가올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이를 위한 전통적 교육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때입니다.
코스모스팜 소셜댓글